작은 ‘징후’도 함부로 무시하지 마라
▲ 이대현
모든 일에는 징후가 있다. 대형 참사가 일어나려면 수백 번의 작은 사고가 앞서고, 심한 병을 앓기 전에 신체에 작은 이상들이 나타나듯이.
때론 영화의 상상이, 아니면 과거 사건에 대한 재조명이 그 징후를 일려주기도 한다. 그 상상과 재조명은 일종의 ‘예감’이다.
▲ 영화 '빅 쇼트'의 한 장면. ⓒ SR타임스
아담 맥케이 감독의 영화 <빅 쇼트>는 어떤 이유로든 우리가 그 징후를 무시하면 얼마나 끔찍한 일을 만는지 알려준다. 2008년 미국의 경제붕괴를 가져온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다루고 있는 이 영화의 결말은 끔찍하다. 미국 대형은행들의 몰락, 5조 달러 증발, 800만 명의 실업자, 600만 가구의 주택상실. 미국 월가의 대형은행들과 신용평가사들, 정부와 언론의 부도덕과 불감증이 가져온 결과이다.
“곤경에 빠지는 것은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라, 뭔가를 확실히 안다는 착각 때문”이라는 마크 트웨인의 말로 시작하는 이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2008년 서브파라임 모기지론의 부도로 미국의 주택시장이 붕괴할 때 ‘빅 쇼트’로 대박을 터뜨린다. 캐피털 대표 마이클 버리(크리스찬 베일), 펀드매니저 마크 바움(스티브 커렐), 도이치방크의 트레이더 제러드 배넷(라이언 고슬링), 전 트레이더 벤 리케르트(브래드 피트)와 그의 도움으로 떼돈을 버는 신참내기 자산관리사 찰리와 제이미가 그 주인공들이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칼럼은 에스알(SR)타임스와 콘텐츠 제휴로 게재하는 것이며, 외부 칼럼은 본 협회의 공식 의견과 편집 방향과 다를수 있습니다.여러 블로그 독자들의 많은 구독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편집=한국조사기자협회 취재팀 press@josa.or.kr)
'조사기자칼럼 > 이대현의 SR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비정규직 없는(제로) 대한민국’을 위하여 (0) | 2017.06.02 |
---|---|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늙기도 서럽거늘, 일까지 하실까’ (0) | 2017.05.23 |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작은 ‘징후’도 함부로 무시하지 마라 (0) | 2017.03.20 |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희망, 그래도 있습니까? (0) | 2017.02.07 |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새들의 반란’ 경고메세지 (0) | 2016.12.31 |
●한국조사기자협회● [이대현의 SR칼럼] ‘오 마이 파파’ 와 ‘오 마이 프레지던트’ (0) | 2016.12.21 |